
엠네스티 "대규모 수감자들 인권문제 우려"
美 하원, 이란 반정부 시위 지지 결의 채택
이란 정부가 반(反)정부 시위 중 체포한 인원을 대폭 축소해 발표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체포된 시위대 5명이 감옥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수감자 인권 문제도 국제 사회의 우려를 사고 있다.
9일(현지시간) 이란 국회 공식 뉴스 웹사이트인 ICANA는 테헤란 지역구의 개혁 성향 의원 마무드 사데기의 발언을 인용, 반정부시위로 체포된 인원이 37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인원보다 8배 이상, 국내외 인권 단체의 추정치의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시위 당시 경찰을 비롯해 전국 보안군, 친정부 성향 준군사조직 바시즈 민병대 등 여러 단체가 체포에 관여했으며 이 때문에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는 것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사데기 의원은 덧붙였다.
그는 체포 인원을 3700명이라고 추정한 근거나 정보의 출처 등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언론은 사데기 의원이 이같은 수치를 발표하는 것만으로도 이란 정부를 압박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규모 체포와 함께 수감자들에 대한 인권 보장 문제도 문제가 됐다. 국제 인권단체 앰네스티에 따르면 테헤란 에빈 교도소와 아락, 데즈풀 지역 교도소에서 수감자 5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정부는 이들 중 시나 간바리(22)의 사망을 공식 인정했지만 그가 마약 밀매와 관련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앰네스티는 고문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부검을 비롯한 투명한 진상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나심 파파야니 앰네스티 연구원은 "당국은 '예방적' 차원에서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일부 대학생을 체포하기도 했다"며 "체포된 이들이 감옥에서 법적인 도움과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같은 날 미국 하원은 최근 반정부시위에 대한 이란 정부의 탄압을 규탄하고 국민들의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는 결의안을 찬성 415표, 반대 2표로 통과시켰다.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회 위원장(공화·캘리포니아)은 "우리는 제재의 표적이 이란 국민이 아니라 폭압적이고 불안정한 정권이라는 것을 반드시 설명해야 한다"며 "미국은 이란 국민들과 함께 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주 미 재무부는 탄도 미사일 개발과 운용에 관여한 이란 기업 5곳에 제재를 가했다.
#스포츠해외축구 #스포츠야구 #스포츠뉴스야구 #스포츠뉴스축구 #스포츠종류 #스포츠정의 #취미스포츠 #스포츠의어원 #스포츠종류영어 #스포츠나무위키 #스포츠의역사 #스포츠의개념 #스포츠의기원 #스포의의특성 #스포츠의목적 #스포츠의어원 #스포츠란무엇인가